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기도 평택 지제세교지구 : 지제역 더샵 센트럴시티

APT 정보

by 땅잘 2021. 3. 26. 16:31

본문

728x90

고덕 국제 신도시와 함께 현재 경기도 평택에서 가장 핫한 지역이 바로 "지제역"이다. SRT가 지제역을 이미 운행하고 있고 수원발  KTX의 지제역 정차가 결정되면서 경기 남부권 광역교통의 중심이 되고 있다.

 

더구나 근접한 고덕 국제 신도시와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전국적으로도 "부동산 불장"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지제역은 "지제역 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이라고 하여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규모 개발은 보통 역 주변부터 시작하기 마련인데 지제역의 경우 동삭지구, 모산영신지구 등이 먼저 개발을 마쳤고 현재 역과 근접한 영신지구와 지제세교지구가 개발을 시작하는 상황이다.

 

잘게 쪼개진 지구 중에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지구는 당연히 지제역과 가장 가까운 지제세교지구이다. 그 지제세교지구에서 첫 분양을 한 곳이 오늘 알아볼 "지제역 더샵 센트럴시티"이다.

 

 

그 동안은 준공해서 입주한 세대들 위주로 알아봤는데 "지제역 더샵 센트럴시티"는 아직 입주까지 1년 남짓이나 남아 있다. 현재로서는 바로 옆의 영신지구에서 첫 분양한 "힐스테이트 지제역 아파트"가 지제역 대장의 위치를 지키고 있으나 지제세교지구에서 분양하는 단지들이 앞서 나갈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지제역 더샵 센트럴시티"이 으뜸이다.

 

※  평택 지제세교지구

2010년 4월 경기도가 평택 지제세교지구를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했고 2011년 4월 조합설립 인가, 2018년 6월 환지계획인가 승인 후 2018년 9월 본격적으로 개발을 추진했다고 한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지제역을 중심으로 임팩트 강한 도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번 국도를 타고 올라가면서 허허벌판에 이마트만 덩그러니 놓여 있던 기억이 어렴풋한데 이 곳도 곧 천지개벽이 이뤄질 것이다.

 

 

◈ 분양 정보

 

 

    1. 분양 일자 : 2019년 9월 (입주 예정일 : 2022년 5월)

 

    2. 분양가

84㎡ 기준층 기준 4.3억 정도이다. 분양 시기가 2년 이상 차이가 나긴 하지만 고덕 국제 신도시 시범단지에 비해 분양가가 4천만원 가량 높다. 그 사이에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오른 것도 있을테고 지제역의 위력일 수도 있겠다.

평택 부동산 카페 내에서도 고덕 국제 신도시와 지제역세권 중 어디가 더 좋은지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다고 하니, 그만큼 두 곳 다 관심 지역이라는 방증이다.

 

    3. 단지 배치도

 

 

아무래도 신축 아파트는 초등학교를 제일 먼저 보지 않을 수 없다. 도로를 건너지 않고 초등학교를 갈 수 있는 건 아주 큰 장점이다. 2022년 9월 초등학교가 개교한다고 하니 2022년 5월 입주 후 2학기부터 다닐 수 있을 것 같다.

옆 단지인 "힐스테이트 지제역 아파트"는 이미 입주를 했는데 이왕이면 입주시기를 맞춰 개교하면 여러 사람이 편할 텐데, 이유가 있을 테지.

이(마트)품아 단지다. 주상복합이 아니고서야 단지 바로 옆에 대형 마트가 있기 쉽지 않은데, 장보기가 아주 편리할 것으로 보인다.

 

    4. 평면도

 

 

 주변 입지

 

 

서두에 언급한 대로 "지제역" 하나만으로도 가치는 충분하다. 도보 5분 거리로 초역세권이라 불릴만하다.

1호선 지하철, SRT, KTX, 광역버스에 더해 현재 논의되고 있는 GTX-C 노선까지 지제역 정차가 확정된다면 한 단계 더 뛰어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가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지역으로도 접근이 용이하고 북서쪽으로 보이는 고덕 국제 신도시 내 삼성전자 사업장과도 가까워 직주근접으로도 손색이 없다.

 

2020년 말 기준 한창 공사가 진행중인 모습

 

 

 실거래가

 

출처 : 호갱노노 (2021. 3. 기준)

분양권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듯하다. 현 시세를 기준으로 충분히 매력적인 가격이나 실제로 저 가격의 매물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충분히 상승 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자 개인 사정에 의해 미리 분양권을 넘긴 경우라 볼 수 있겠다.

 

 시세

 

출처 : 네이버 부동산 (2021. 3. 기준)

8억 이상의 호가이다. 이미 모든 호재가 가격에 선반영 됐다는 평가도 있긴 하지만,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 가격은 누구도 완벽하게 예상할 수는 없을 것 같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